전통과 문화가 공존하는 명품 도시, 청송!
청송문화관광재단이 함께합니다.

주요사업

청송백자전승개발

청송백자

장인의 혼이 깃든...청송백자

  • 청송백자는 16세기부터 현재까지 5백여년 동안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강원도 양구백자, 황해도 해주백자. 함경북도 회령자기와 함께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4대 지방요(地方案) 중의 하나로 우리선조들의 식생활에 품격을 높이는데 공헌한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백자이다.

2005년 이루어진 청송백자 가마터 지표조사 결과 늦어도 16부터는 백자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1423~1432년에 기록된 世宗實錄地理志 (세종실록지리지) 慶尙道 安東大都護府 靑松郡條(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청송군조)에서 청송군이 백토의 산지임을 기록하고 있어, 이미 166 이전에 백자가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9c말부터 20c 중반에 가장 활발하게 생산, 유통되었던 청송백자는 질 좋은 도석을 바탕으로 1920~1930년대에는 일본각지로도 활발하게 판매되었으며, 특히 동경의 트商店(현재의 미스코시 백화점)으로도 수출될 정도로 유명세를 떨쳤다.

1958년 공업용 대량생산 제품의 출현으로 인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뻔 했던 청송백자는 청송군의 발굴 복원사업과 2009년 청송백자전수관의 개관을 통해 다시 세상에 드러났으며 현재청송백자 전수자들과 현대인의 다양한 식생활에도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디자인의 생활자기를 제작하며 대한민국 명품생활자기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전승발전

“500년 전통의 청송백자”의 전통과 기술을 전수받아 현대적인 작품으로 계승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있습니다.
오늘도 “청송백자의 뛰어난 가치”를 빚어내고 있습니다.

마지막 사기대장 고만경 옹

청송군 향토문화유산 제1호 故 고만경 옹(1930~2018)은 청송 부남에서 8남매 중 넷째로 태어나 열다섯 되던 해 부남면 화장리 웃화장 공방에 입문하여 남촌어른으로부터 사기제작 기술을 전수 받으며 청송백자와의 인연을 맺기 시작하였다.

사기제작기술을 배운지 3년 뒤인 1947년 한소밭골 공방을 시작 으로 설티, 웃화장, 질티, 법수 등에서 사기대장으로 일하면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사발, 대접, 접시 등의 백자를 만들었고, 후에 가족과 함께 직접 공방을 운영하게 되었다.

수많은 좌절을 겪으면서 기능적으로, 인격적으로 완숙한 장인의 경지란 얼마나 험난한 길인지를 절감한 고만경 옹은 고된 노력과 끊임없는 연구 끝에 자신만의 비법을 축적하며 가장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기능을 연마하여 원숙한 청송백자 사기대장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그러나 1958년 공업용 대량생산 제품의 출현으로 인해 고만경 옹은 더 이상 사기대장으로서 작품을 생산하기 어려워졌고 결국 공방은 문을 닫게 되었지만, 고만경 옹은 대구 포항 등지를 돌며, 생활을 하면서도 청송백자의 맥을 이어나가고자 하는 열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이렇게 역사의 뒤안길에서 잊힐 뻔 했던 청송백자의 존재는 2007년 시작된 청송백자 발굴사업으로 재조명되어 2009년 청송백자전수관을 개관하고, 청송군에서 청송백자 제작에 가장 중요한 기술을 가진 고만경 옹을 다시 모셔오면서부터 전동 제작방식에 따라 복원작업을 하며 청송백자는 과거의 영광을 재현해 나갈 수 있었다.

고만경옹은 5백년 전통을 계승한 유일한 사기장으로서 청송백자의 발전을 위해 각고의 노력으로 일구어낸 청송백자의 제작기술을 후대의 전수자들에게 아낌없이 전수해주기 위해 마지막까지 장인의 혼을 불태웠다.

청송백자의 전통을 계승하는 사람들
전수자들
청송백자전수관에서는 故 고만경 옹으로부터 5백년 전통의 청송백자의 전통과 기술을 전수받아 현대적인 작품으로 계승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전수자들이 오늘도 청송백자의 뛰어난 가치를 빚어내고 있다.
  • 윤한성 청송백자 수석전수자 (청송백자전수관장)
  • 안세진 청송백자 전수자
  • 송인진 청송백자 이수자
  • 고형석 청송백자 이수자
청송백자의 변천과정
  • 16세기 후반
    • 전국에서 백자가 널리 제작되기 시작하던 시기로 청송에서도 백자를 제작
  • 17세기
    • 부남면과 부동면을 중심으로 굽바닥이 오목하게 생긴 오목굽 회색청자
  • 18세기
    • 유백색의 백자 제작이 시작된 시기로 오목굽에서 낮은 굽다리로 변경
  • 19세기
    • 18세기의 전통을 이어 유백색 및 아백색의 백자가 제작되었으며, 도석(陶石)을 원료로 제작한 청송백자의 기틀이 마련되기 시작
  • 20세기
    • 기벽이 얇고 가벼우며, 유백색을 띠고 있는 청송백자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서민들의 생활용 식기류와 제기들을 제작하였으나 1985년을 전후로 생산전통이 단절
  • 2009.01재현전승
    • 고만경(기능보유자) - 청송군 향토문화유산 제1호 지정
청송백자 제작과정
  • 1. 도토 채취 및 분쇄 청송사기 원료로 이용하는 도석은 괴상(돌)의 형태로 산출되므로, 빻아야 사기제작 원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 수비(질거르기) 작업 수비작업은 원료의 입자를 고르게 하는 작업입니다.
  • 3. 질건조와 질밟기 청송사기에서는 수비작업이 완료되어 가라앉은 앙금을 ‘질’이라고 하며, 질의 점도를 높이고, 질 내부 공기를 빼기위해 ‘질밟기’를 합니다.
  • 4. 꼬박밀기 사기대장이 사발짓기가 용이하도록 모양을 만들어 주는 작업입니다.
  • 5. 사발짓기 그릇의 모양을 만드는 과정으로 사발짓기 도구는 전통재래식 발물레를 사용합니다.
  • 6. 굽깎기 사발짓기가 완성된 그릇의 굽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 7. 그림 넣기 성형. 건조된 그릇의 표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는 작업입니다.
  • 8. 유약처리 그릇의 강도를 높이고, 광택을 주기 위하여 그릇의 표면에 유약을 입히는 작업입니다.
  • 9. 번조 도자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기굴에 불을 떼어 굽는 작업입니다.
  • 10. 사발따기 소성이 완료된 그릇을 사기굴에서 내는 작업입니다.